반응형
바코드 스캐너는 바코드에 빨간 레이저 빛을 쏘아 반사된 빛을 판독해 내는 원리로 작동해요.
여기서 빨간빛을 사용하는 이유는 생산하기 쉽고, 비교적 저렴하기 때문이에요.
사실은 모든 색으로 만들 수 있죠.
빛에는 파장이 있고, 빨간색에 가까울수록 파장은 더 길어지는데, 스캐너의 판독기(포토다이오드)는 파장이 길수록 더 잘 반응해요.
스캐너 레이저가 파란색이나 녹색일 경우 바코드의 0과 1 사이의 차이를 구분하기 위해 더 비싼 부품을 사용해야 해요.
그래서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더 비싼 바코드 스캐너를 만들 이유가 없죠.
일부 바코드는 빨간색 레이저로는 읽을 수 없는 경우가 있어 녹색 레이저를 사용하거나 녹색과 빨간색이 전환되는 스캐너가 사용돼요.
추가로, 적외선 레이저는 빨간색 레이저보다 훨씬 저렴하지만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작동 여부를 알기가 어렵고, 사람들이 눈치채지 못한 채 광선을 들여다볼 수 있어 위험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고 해요.
https://youtube.com/shorts/uBtmLlQsSKo
반응형
'까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을 세면 잠이 잘 올까? (0) | 2023.03.19 |
---|---|
엄지 척, 어쩌다가 긍정의 상징이 되었을까 (0) | 2023.03.18 |
술을 마시기 전 건배를 왜 할까? (0) | 2023.03.12 |
테디 베어, 왜 곰인형 이름은 테디일까? (0) | 2023.03.10 |
"화이팅" 어쩌다가 하게 되었을까? (0) | 2023.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