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까까 59

비키니는 이름 왜 비키니일까?

태평양 한가운데 '마셜 제도'(Marshall Islands)를 이루고 있는 섬들 가운데 하나 거대한 산호로 이루어진 섬이 있어요. 이 섬은 죽은 산호 위에 새 산호가 나는 과정을 거듭한 끝에 아름다운 섬으로 만들어졌죠. 이 섬이 세상에 알려지기 시작한 것은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약 1년 후인 1946년 7월 1일부터예요. 미국은 이날 이 섬에서 핵실험을 강행했죠. 이 섬의 이름은 비키니 섬. 1946년 7월 1일 처음으로 원자폭탄 실험이 행해진 이래 1958년까지 무려 23회의 핵폭탄 실험이 실행되었어요. 비키니섬 핵실험이 있은 지 나흘 뒤인 7월 5일 '루이 레아르'(Louis Réard)라는 패션 디자이너가 프랑스 파리 패션쇼에서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수영복을 선보이는데, 기존에 전신을 가리는 수..

까까 2023.05.24

일본은 젓가락을 왜 가로로 둘까?

우리는 젓가락을 숟가락 옆에 나란히 세로로 두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일본의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에서 음식을 먹는 장면이 정말 많이 나오는데, 자세히 보면 젓가락을 가로로 두는 것을 쉽게 볼 수 있어요. 일본인들은 왜 젓가락을 가로로 두는 것일까요? 확실한 답은 없지만 여러 가설이 있어요. 일본에는 사무라이가 있죠. 밖에서는 칼을 찬 채로 식사를 했지만, 집에서만큼은 칼을 내려놓고 식사를 하는 게 예의였다고 해요. 하지만 밥을 먹고 있데 자객이 들어올 수도 있는 상황이 벌어져 젓가락을 무기로 사용했다고 하죠. 젓가락이 칼에 비하면 뭉뚝하고 작지만, 무기로 쓰기에는 충분히 뾰족했다고 해요. 그래서 젓가락을 세로로 놓으면 앞에 있는 상대에게 칼과 같은 무기를 겨누는 모양새가 돼서 적의가 없음다는 것을 알..

까까 2023.05.12

고대 조각상들은 왜 다 성기가 작을까?

벌거벗은 고대 그리스 조각상이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여러분은 고대 조각상이나 인물화를 보신 적이 있나요? 보통 이런 작품들을 보면 옷을 입지 않은 사람을 묘사한 경우가 많죠. 특히 남성을 묘사한 작품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한 번쯤 이런 생각을 하게 될 수도 있어요. 왜 남성 조각상이나 인물화에 나타난 성기는 이렇게 작을까? 정말 잠깐 봐도 신체 평균보다 작게 표현되어 있죠. 고대 사람들의 성기는 정말 모두 작았던 걸까요? 고대 조각상과 인물화에 묘사된 성기는 왜 이렇게 작게 표현되어 있을까요? 학계는 고전 예술 작품들에 표현된 생식기의 크기에 관해 심도 있게 고찰해 왔어요. 이와 관련된 책들도 출간되었죠. 고대 사람들은 정신 못지않게 '완벽한 육체'를 이상향으로 삼았어요. 묘사의 대상이 사람이든 신이든..

까까 2023.04.26

미국 흑인들은 왜 바지를 내려 입을까?

미국에서 축 늘어져 내려 입는 바지를 saggy pants라고 부르고, 한국에서는 똥 싼 바지라고 불리죠. 과거 미국 교도소에서 벨트는 자살 도구나 흉기로 쓰일 수 있다 보니 죄수들이 벨트를 찰 수 없었어요. 그런데 죄수복은 공용사이즈라 엄청나게 커서, 죄수들은 바지가 자주 흘러내려 축 늘어졌었어요. 죄수들이 바지를 헐렁하게 입어야만 했고, 교도소에 오는 죄수들은 흑인이 많았어요. 그래서 처음 흑인들이 사이에서 퍼진 문화예요. 1992년 2인조 흑인 래퍼 그룹 크리스 크로스가 데뷔 때 '늘어진 바지'를 내세운 이래, 많은 흑인 래퍼는 물론 에미넴, 저스틴 비버 등 백인 가수들까지 따라 하면서 '멋진 반항아'의 상징이 됐었다고 해요. 상류층 자제들이 교복·양복바지를 최대한 올려 입는 '배바지'에 대한 반감..

까까 2023.04.24

젓가락 예절 언제 생겼을까?

어른과 식사할 때 젓가락질을 잘못하면 한 번씩 듣는 말이 있죠. “젓가락질을 잘못 배웠구나”, “다 큰 애가 젓가락질이 그게 뭐냐”, “상견례 때 젓가락질 못하면 안 좋게 본다” 식사할 때만 되면 잘못한 것도 없는데 죄인이 되는 기분이 들고, 괜히 식사 자리를 피하게 되죠. 젓가락질을 못하면 긍정적인 얘기는 들을 수가 없어요. 젓가락질을 어떻게 하든 불편함 없이 식사를 잘할 수 있는데, 젓가락 예절은 왜 이렇게 중시되는 걸까요? 우리나라에서는 삼국 시대 이후 귀족층이 중국으로부터 식문화를 받아들이며 젓가락을 처음 사용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어요. 조선 시대에도 젓가락이 사용되긴 했지만, 젓가락보다는 숟가락이 보편적으로 사용되었죠. 당시 식단은 주로 밥과 국 위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에요. 젓가락을 쥐는 방식..

까까 2023.04.19

겁이 없는 사람은 간이 클까?

간(肝)은 '고기 육月(肉)'과 '방패 간(干)'자로, 외부의 독성 물질을 해소하면서 질병을 막는 방패 역할을 한다고 해서 이루어진 형성문자예요. 흔히 겁이 없는 사람을 '간이 크다' 혹은 '간이 부었다'라고 말을 하죠. '대담(大膽)하다'는 표현을 쓰기도 하는 데, 이 말은 '담낭' 즉 쓸개가 크다는 뜻이에요. 대담(大膽) 큰 대, 쓸개 담'을 써서 담력이 크다. 한의학에서는 오장육부의 하나인 '간장'을 '간' 뿐만 아니라 담낭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기 때문에, '간이 크다' 혹은 '대담하다'라는 말은 결국 같은 뜻이 되죠. 한의학에서 간장은 온몸의 기관, 조직, 세포는 물론 정신 활동까지 관장하는 중요한 장기라고 설명해요. 몸의 모든 근육이 운동할 수 있는 활기를 만들고 정신활동의 요소인 혼이 있..

까까 2023.04.06

지폐에는 왜 초상화가 그려져 있을까?

지폐에는 훌륭한 인물의 초상화가 그려져 있죠. 전 세계 모든 지폐에는 초상화가 그려져 있어요. 이러한 초상화가 지폐에 들어가는 이유는 단순히 그 인물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서만은일까요? 초상화가 그려지는 이유 중 하나는 지폐 위조를 방지하기 위한 거예요.. 인간은 건물이나 풍경이 조금 달라지면 쉽게 눈치채지 못하지만, 사람의 얼굴은 조금만 달라져도 금방 알아챌 수 있어요. 초상화를 모사하기 어렵기 때문에, 어설프게 따라 그리면 이질감이 생겨 위조지폐를 의심하게 되는 거죠. 초상화는 지폐 위조 방지를 위한 가장 합리적인 선택중 하나겠네요. https://youtube.com/shorts/xdQ9KMX0ico

까까 2023.03.31

장대높이뛰기 선수는 그 긴 장대를 어떻게 갖고 다닐까?

장대는 가장 짧은 것도 4m는 되고, 긴 것은 5.3m나 된다고 해요. 선수들은 자신이 도전하는 높이에 따라 여러 가지 장대 중 하나를 선택하죠. 그래서 경기에 참가할 때마다 한 선수가 적어도 대여섯 개의 장대를 갖고 다녀야 한다고 해요. 그리고 장대높이뛰기용 장대는 접이식이나 분해식이 아니에요. 가지고 다니기가 만만치 않을 것 같은데, 장대는 어떻게 옮길까요? 국내 원정 경기라면 대형버스의 통로에 싣는 방법이 있어요. 그런데 요즘은 창문을 열 수 없는 대형버스가 많아 이마저도 쉽지가 않은데, 할 수 없이 버스 지붕 위에 묶어서 옮긴다고 해요. 해외 원정 경기 때 항공기 화물칸에는 쉽게 들어가서, 어려운 문제가 없죠. 택배를 이용하는 것도 생각해 볼 만할 것 같은데, 정말 비효율적이에요. 4톤 트럭이라도..

까까 2023.03.30

교가는 전세계 학교가 다 있나?

교가가 있는 나라와 없는 나라한국의 학교에서는 졸업식이나 입학식, 학교 간 운동 경기, 운동회, 음악 수업 등 여러 행사에 학교의 교가를 부르곤 하죠. 교가는 학교마다 다양하게 있지만, 해외 학교에도 교가가 있을까요? 미국의 학교에는 교가가 없다고 해요. 미국 학교는 교장 선생님 훈화 말씀, 전교생 조회, 기타 등등 행사가 거의 없고, 대신 입학식, 미국 독립기념일 축하 같은 공식적인 행사 때 미국 국가를 부른다고 해요. 스웨덴의 학교에서도 교가가 없지만, 졸업식 때 모든 학교에서 전통적으로 부르는 노래를 부르곤 한다고 해요. 인도네시아에 학교에도 교가가 없어요. 그 대신 기념일에 초·중· 고교 모두 같은 노래를 부른다고 해요. 이렇게 교가가 없는 나라를 찾는 것보다 교가가 있는 나라를 찾는 게 더 빠른..

까까 2023.03.30

양을 세면 잠이 잘 올까?

어릴 적 잠이 안 올 때 한 번은 들어본 말 이 있죠. "잠이 안 오면 양을 세봐라" 억지로 잠을 청한다는 의미로 'Counting sheep'이라는 숙어가 따로 있을 만큼 잠이 안 오면 양을 세라는 표현은 옛날부터 있었어요. 그러면 이 방법이 잠을 잘 오게 해 줄까요? 이 방법을 써서 효과를 본 사람은 많지 않다고 해요. 오히려 양의 수를 세는 일에 지나치게 집중한 나머지 정신이 더 말똥말똥해지는 경우도 있죠. 그렇다면 양을 세 개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확실한 기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유력한 두 가지 가설이 있어요. 1. 농경사회의 전통 당시 양 목축업자들이 양 떼가 맹수들에게 사냥을 당하는 건 아닌지, 양들이 우리에 잘 있을지 잠을 자면서도 걱정을 많이 했다고 해요. 특히 울타리를 직접 볼 수 없는 ..

까까 2023.03.19
반응형